문을 연 지 42년 된 경기도 외곽의 보건지소입니다.
그런데 환자 접수처와 공중보건의 사무실 모두 불이 꺼져있습니다.
여기서 대리처방을 해줘요. 그래서 처방전 받으러 왔다가 안돼서 그냥 가는 거예요.
병역법에 따라 의대생은 일반 병사로 복무하는 대신 공중보건의로 근무할 수 있는데, 지자체에서 배정받은 수가 적어서 일주일에 이틀만 문을 열고 있습니다.
[송원철 / 가평군청 보건행정팀장 : 현재 순환 근무하는 공보의들은 격일제로 한곳에서 하루 근무하고 그다음 곳으로 이동해서 또 하루, 그렇게 해서 매일매일 격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공중보건의가 근무하지 않는 날 이곳을 찾은 환자들은 헛걸음하기도 합니다.
최소 1명씩 배치돼야 하는 보건지소에 공중보건의가 부족해, 1명이 여러 곳을 맡아서 순환근무를 하는 것은 전국적인 현상입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천2백여 개 보건소 가운데 공보의가 없는 곳은 340곳.
비율로 보면 충북은 45%가 비었고, 전북과 세종, 경남 순으로 높았습니다.
천 명당 활동하는 의사 수를 보면 서울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역들이 하위권을 차지해 지역의 의료공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보의가 부족한 이유는 18개월 복무하는 일반 병사보다 기간이 두 배로 길기 때문입니다.
의료공백이 이어지자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는 손을 맞잡고 부속병원을 유치할 수 있는 국립 의대 설립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철우 / 경상북도지사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생명권과 건강권은 지방에 산다는 이유로 차별받아서는 안 될 헌법상의 권리이며….]
하지만 부속병원 한 곳에 1조 원이 넘는 비용 문제와 함께, 졸업한 의대생이 지역에 남아있을지 보장이 없어 고민이 뒤따릅니다.
우선 정부는 17년째 3천 명으로 제자리걸음하고 있는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게 의료 불균형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전문가들이 모인 보건의료정책 심의 위원회에서 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YTN 조용성입니다.
촬영기자ㅣ왕시온
그래픽ㅣ우희석
그래픽ㅣ홍명화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의료공백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