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과학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100만 달러 상금 7 대 수학난제 푼 한국인 [조용민, 건국대학교 물리학과 석학교수]

2013.05.14 오후 02:45
background
AD
[앵커멘트]


누구도 풀지 못했던 세계 7대 수학 난제가 있는데요, 이 중 하나를 우리나라 과학자 한 분이 풀었습니다.

미국의 한연구소에서는 이 문제에 무려 100 만 달러 상금까지 걸었다고 하는데요, 일명, 100만 달러짜리 수학난제를 푼 한국인 천재 물리학자, 직접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건국대학교 조용민 교수님, 어서오십시오.

[질문]

교수님을 뵈니 '아인슈타인'이 떠오릅니다.

천재 물리학자라는 공통점도 있고요, 어떻게 보면 외모도 닮으신 듯 한데 평소에도 그런 얘기 들으시나요?

[답변]

사실 저 별명중 하나가 리틀아인슈타인 (조 슈타인) 입니다.

서울대학에 있을 때부터 사람들이 그렇게 부르더군요.

[질문]

실례지만 교수님 IQ가 어느 정도 되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답변]

고등학교 일학년 때 학교에서 IQ 테스트를 했는데 그때는 그게 뭔지도 몰랐지요.

150 만점에 149가 나왔더라고요.

흔히 사람들이 IQ 200을 이야기 하는데 저가 그때 치른 문제는 만점이 150이었어요.

[질문]

이번에 푸신 수학난제가 '양-밀스 이론과 질량 간극 가설'입니다.

용어도 생소하고, 짐작이 잘 가지 않는데요, 시청자들이 좀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좀 부탁드립니다.

[답변]

이 문제의 두 가지 요소는 양-밀즈이론이라는 것과 질량 간극이라는 것입니다.

우선 양-밀즈 이론이란 Yang 이라는 사람과 Mills 라는 사람이 1954년에 미국물리학회지에 발표한 이론인데, 이 이론의 특징이 질량이 아예 없는 이론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우주는 빛을 제외한 모든 물질이 질량을 갖고 있어요.

그래서 그 당시 이 이론이 무엇을 설명하는지 이 두사람은 물론 아무도 몰랐는데요, 70년대 초부터 이 이론이 원자핵을 설명하는 이론이라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원자핵은 질량이 있습니다.

질량이 없는 양-밀즈 이론에서 어떻게 질량을 만들 수 있는가 증명하는 문제가 바로 이 문제입니다.

[질문]

한 마디로 질량이 아예 없는 양-밀즈 이론에서, 어떻게 질량을 만드는가를 증명하는 문제군요, 그런데, 이 문제가 그렇게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난제였을까요?

[답변]

우리 눈에 보이는 우주는 은하계들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모두 질량이 있는 원자핵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우리 눈에 보이는 우주의 질량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밝히는 문제이지요.

얼마 전 세계 최대 입자가속기 연구소 인 유럽 핵 연구소에서 신의 입자라는 힉스입자를 발견했다고 크게 보도된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이 힉스 입자가 우주의 질량을 주기 때문에 신의입자라고 부른다고 보도된 적이 있어요.

그런데 사실 우주의 질량을 설명하는 것은 바로 이 문제입니다.

[질문]

우주는 대부분 암흑물질로 되어 있다고 하던데요.

이 암흑물질들도 그럼 질량이 있나요?

[답변]

우리 우주는 약 96% 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로 되어 있어요.

이것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질량으로 된 것이 아니에요.

그런데 나머지 약 4% 즉 우리 눈에 보이는 은하계나 태양과 같은 우주의 모든 물질은 모두 원자핵으로 되어 있지요.

이 질량을 말하는 것입니다.

[질문]

많은 과학자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누구나 풀고 싶어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보니,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많다고요?

[답변]

그 당시 Yang 이 이 이론을 아인슈타인이 있던 미국 프린스턴 고등 연구원에서 발표를 했을 때 물리학의 제왕으로 불리던 Pauli 가 이 이론이 엉터리라고 발표도 못하게 심하게 비판을 했습니다.

그런데 그 이유가 바로 질량문제였습니다.

질량이 없는 물질은 빛 밖에 없고 빛을 기술하는 이론은 이미 있는데 이 이론이 무슨 쓸데가 있느냐 하는 것이었지요. 바로 질량 간극 문제를 지적했던 것입니다.

또 하나 에피소드는 잘 알다시피 Yang 은 현재 최고의 물리학자로 모택동이 개방정책을 시작할 때 제일 먼저 중국으로 초대한 중국계 미국사람 입니다.

그때 중국 최고위층이 양-밀즈 이론에 대해 비서진에게 설명을 듣다가 "어떻게 이 이론으로 밀가루 공장을 만들 수 있는가"하고 물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영어로 mill 이란 단어 가 밀가루 공장을 뜻하는 줄 알고 오해를 했던거죠.

[질문]

교수님은 언제부터 이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신 건가요?

[답변]

이 문제는 이론물리학의 최대 난제이므로 물리학자 라면 누구나 풀고 싶어 하는 문제이지요.

1990년 미국 클레이 수학 연구소에서 이 문제를 7대 난제 로 선정해서 수학문제로 인식이 되 버렸는데 사실 이 문제는 물리문제입니다.

저가 시카고 대학에서 박사학위 연구를 하고 있을 때가 70년도 초반이었는데 당연히 저도 이때부터 해답을 찾으려 노력 해 왔는데 40년이 지난 이제 서야 결실을 보게 된 것입니다.

[질문]

자기 홀극 응집이라는 것을 통해, 이 문제를 푸셨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자기 홀극 응집이란 무엇입니까?

[답변]

양-밀즈 이론은 수학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어요.

이 구조 때문에 자기 홀극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소립자들은 점으로 되어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 자기 홀극은 수학적으로 풀 수 없는 매듭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자기 홀극들이 묵처럼 응집이 되면서 색을 감금시킨다는 것이지요.

[질문]

그런데, 수학적인 입증이 아니라고, 수학계에서는 반발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던데?

[답변]

그런데 이런 반응은 어떻게 보면 자연스러운 것이지요.

그런데 한두 가지 아쉬운 점은 비판하려면 학문적으로 비판을 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내 논문에 틀린 점이 있으면 논문으로 반박해야 되지요.

수학 문제를 물리적으로 풀어서 틀렸다는 식은 곤란하지요.

그리고 보도내용도 문제가 많아요.

이 보도를 한 신문은 저를 수학자로 보도했습니다.

사실 확인도 안 한 것이지요.

그리고 이런 보도를 할 때는 상대방의 입장도 같이 보도를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질문]

미국의 클레이 연구소에서 미해결 문제로 지정한 7개 문제의 해답을 찾으면 문제당 100만 달러, 그러니까 한국돈으로 11억 5천만원의 상금을 주겠다고 했다죠, 앞으로 이 상금을 받게 되려면 어떤 절차가 남아있나요?

[답변]

우선 저가 상금을 위해 이 문제를 푼 것이 아니란 것부터 말씀드립니다.

그리고 이 연구소가 자체 규정이 있어요.

우선 최소 2년 동안 학계의 반응을 보고 그 후 시상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내 논문이 이 규정에 맞는지 아닌지는 자기들이 결정합니다.

[질문]

그럼 2년의 검증기간이 지나고 교수님이 이 문제를 푼 것이 입증될 경우, 그 성과가 어느 정도되는 겁니까?

노벨상을 받으실 수 도 있나요?

[답변]

이 문제는 60년 동안 아무도 못 풀었던 문제니 자연스럽게 비교가 되겠지요.

그렇다고 이것으로 노벨상은 안줍니다.

상마다 그 성격이 있는데 노벨상은 실험적으로 확인되는 것만 줍니다.

단지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 실험으로 확인 할 수 있는 중요한 현상들이 나옵니다.

이런 것을 실험해서 노벨상을 받을 수는 있겠지요.

[질문]

과거에도 교수님의 이름을 딴 이론이 발표된 적이 있더군요,

'조-마이슨 자기홀극이론'이란 것인데요, 어떤 내용인가요?

[답변]

제가 1997년 막스 플랑크 연구소 수석 연구원인 마이슨과 예측한 조-마이슨 홀극이란 것인데요.

색자기 홀극은 응집 형태로만 존재하므로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반면, 조-마이슨 홀극은 알갱이 형태로 존재하므로 실험적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처음 발표당시엔 이런 홀극이 존재할 수 없다고, 믿지 않는 사람이 많았지만, 지금은 세계 최대 입자 가속기연구소인 유럽 핵 연구소에서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항상 남보다 먼저가면 힘들지요.

[질문]

이 연구가 입증되면 이것이야말로 노벨상감이라고 하던데요?

[답변]

당연하지요.

발견된다면 이 홀극은 힉스입자보다 더 중요한 인류 최초의 위상학적 소립자가 되지요.

정말로 신의 입자인 셈이지요.

[질문]

교수님은 세계 100대 과학자 중 한사람으로 선정되기도 하셨는데요, 과학이라면 머리아픈 과목이라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을 위해, 어떻게 하면 수학이나 물리를 잘 할 수 있는지 비법을 좀 가르쳐 주신다면요?

[답변]

공부를 남 따라 하지 말고 독창적인 생각을 가져야 됩니다.

여담입니다만 집사람이 저를 길치라고 부릅니다.

항상 쉬운 길을 두고 막힌 길로 간다는 거예요.

그런데 이래서 저가 남들이 못했던 일들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질문]

현재 우리 나이로 70세시죠, 은퇴를 생각할 연세에 여전히 왕성한 연구 활동을 하시고 계신 모습, 존경스럽스러운데요,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답변]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말이 있는데 저도 공감합니다.

젊다고 생각하면 젊게 살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정말로 후배들에게 모범이 되는 원로들이 필요합니다.


학자로서 후배들에게 모범이 되는 삶을 사는 것이 바람입니다.

건국대학교 조용민 석학교수님 모시고 얘기 나눠 봤습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감사드립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2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74,122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17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