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회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15년 전 집단 성폭행' 자백한 유서... 범죄 증거 될 수 있을까?

2024.05.07 오후 02:43
이미지 확대 보기
'15년 전 집단 성폭행' 자백한 유서... 범죄 증거 될 수 있을까?
YTN
AD
자살 직전 중학교 시절 친구들과 함께 성범죄를 저질렀다고 고백한 고인의 유서가 피해자의 진술과 맞지 않는다면 증거 능력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7일 대법원 3부(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성폭력 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특수준강간) 혐의로 기소된 A 씨와 B 씨, C 씨의 상고심에서 각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하고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를 명령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A 씨 등은 중학교 3학년이던 2006년 11월 같은 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피해자를 인근 놀이터로 불러내 술을 먹인 뒤, 만취해 정신을 잃은 피해자에게 유사성행위를 하거나 간음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범죄 수사는 이들과 친구 사이였던 D 씨가 2021년 3월 서울 양천구 한 아파트에서 숨졌을 당시 남긴 유서를 계기로 시작됐다. D 씨가 남긴 유서에는 친구들과 저지른 범행에 대한 반성과 함께 수사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검찰은 이후 피해자와 피해자 모친·친구 등의 진술을 토대로 A 씨 등을 기소했다.

A 씨 등은 이 유서가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작성됐음이 증명되지 않아 증거능력이 없고, 사건 당시 술에 취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형사소송법은 조서나 서류의 원 진술자나 작성자가 사망하는 등 사유로 재판에서 진술할 수 없는 경우,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뤄졌음이 증명되면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한다고 정하고 있다.

1심은 유서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아 모두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2심은 유서를 증거로 채택하고 A 씨 등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

대법원은 "원심 판단에는 형사소송법 314조의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며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다.

대법원은 고인이 자신의 범행을 참회할 의도로 이 사건 유서를 작성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D 씨가 사건 이후 14년이 흐르기까지 주변 사람에게 이 사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없으며, A 씨의 실명과 공소시효를 언급하는 등 반성보다는 형사처벌을 목적으로 유서를 작성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어서 기억력의 한계로 기억에 과장·왜곡이 있을 수 있는 점, 유서에 범행에 대한 구체적·세부적 내용이 없는 점, 피해자가 술자리로 가게 된 경위에 대한 진술과 유서 내용에 맞지 않는 내용이 있는 점 등도 언급했다.


대법원은 "망인에 대한 반대신문이 가능했다면 그 과정에서 구체적, 세부적 진술이 드러남으로써 기억의 오류, 과장, 왜곡, 거짓 진술 등이 드러났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파기환송심을 맡은 서울고법에서는 3명의 유죄 인정 여부를 다시 심리하게 된다. 다만 사실상 유일한 증거인 A 씨 유서의 증거능력이 부인되면서 무죄 판결이 선고될 가능성이 크다.

디지털뉴스팀 최가영 기자

YTN 최가영 (weeping07@ytn.co.kr)

AD
YTN 프로그램 개편 기념 특별 이벤트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70,094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37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