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과학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전기에 굶주린 AI...'탄소중립' 구호 속에 "기차는 간다"

2024.06.15 오전 05:35
AD
[앵커]
인공지능, AI는 전기 먹는 하마입니다.


빅테크 기업들이 엄청난 속도로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는데, 전력 공급이 이 속도를 따라갈 수 있을지, 탄소 중립은 과연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장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최근 발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우리 정부가 처음으로 AI 반도체 수요를 반영했습니다.

[정동욱 /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총괄위원장 (지난달 31일) : 데이터 센터 역시 2038년 기준에서 4.4GW의 전력수요가 추가로 반영됐습니다.]

원전 4기를 추가로 지어 늘어난 수요를 메운다는 계획인데, 화석연료 가운데 석탄은 3분의 1 정도 감축하지만 LNG는 당분간 그대로 두기로 했습니다.

'훈련' 중인 AI는 24시간 전기에 굶주려 있습니다.

2022년 기준, AI와 데이터센터, 암호화폐가 사용한 전력량은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의 2% 수준인데, 4년 안에 2배가 될 거란 전망입니다.

일본 전체의 전력 소비량과 맞먹습니다.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절반이 모여있는 미국과 유럽에선 전력 부족이 이미 직면한 문제입니다.

'반 원전' 정책 기조를 되돌려 원전을 '친환경 전력'에 포함한 것도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수요 폭증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칩 부족이 아니라 전력이 인공지능 발전의 발목을 잡을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마크 저커버그 / 메타 CEO (출처: 유튜브 Dwarkesh Patel) : (AI는) 전력 부족 문제에 부딪힐 것입니다. 결국 전력 때문에 AI 개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에너지 허가를 정부가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빅테크 기업들이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친환경 전력을 자체적으로 조달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제니퍼 그랜홈 / 미국 에너지부 장관 (지난달 31일) : 마이크로소프트나 아마존이 데이터센터에 친환경 전력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그 비용을 지불하는 주체가 되어야지, 전체 요금 기반에 걸쳐 전기를 사용해선 안 됩니다. 빅테크 기업이 감당할 수 있는데 일반 시민이 그 비용을 내게 해서는 안 됩니다.]

데이터센터가 쓰는 전력량의 40%는 기계의 열을 식히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은 아예 바닷속에 데이터센터를 짓고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전력 효율을 높여 전력량 사용을 줄여보겠다는 건데, 이미 2020년부터 효율화가 한계에 달했다는 보고서도 있습니다.


결국 'AI 혁명'이라는 기차가 지금 속도로 달린다면 '탄소 중립'이라는 인류 공동의 목표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YTN 장아영입니다.




YTN 장아영 (jay24@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YTN 프로그램 개편 기념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9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60,833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57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