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회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신고도 없고, 위험 지역만..." 피랍 구출 한국인의 미스터리

2019.05.14 오후 01:02
background
AD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무장 세력에 납치됐다 극적으로 풀려난 한국인 A 씨의 행적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A 씨는 약 1년 6개월 전 세계 여행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올해 1월 북아프리카 모로코에 도착했고 세네갈, 말리, 부르키나파소를 거쳐 베냉 공화국으로 이동하던 중 납치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국 정부는 모로코와 세네갈에는 여행 유의를, 말리와 부르키나파소 북부지역 4개 주에는 철수 권고를 발령한 상태라 A 씨의 경로가 정부가 주의를 요구한 곳만 골라 다닌 셈이라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말리 지역은 매우 위험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영미 / 시사인 국제문제 편집위원 (뉴스가 있는 저녁, 어제) : 2011년 아랍의 봄 때 리비아가 체제가 붕괴가 되면서 당시 리비아 정권에 용병으로 있었던 아프리카 용사들이 많았어요. 이 사람들이 다 고향으로 돌아간 거예요. 그리고 돌아갈 때 빈손으로 간 게 아니라 총을 다 들고 갔기 때문에 그 가장 중심지가 바로 말리입니다. 일대를 사핼지대라고 부르는데 그냥 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사핼지대 일대는 거의 무장세력들이 다 장악하고 있었고요. 말리 같은 경우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센 무장조직들이 다 모여 있다….]

보통 작은 무장세력은 인질을 납치해도 국가와 협상을 벌이기 어려워 말리에 있는 큰 무장 세력에 인질을 넘기곤 하는데 한국인 A씨가 속한 인질들도 말리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프랑스 특수부대가 작전을 펼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프랑스 정부는 자국민 인질 정보를 파악하고 작전을 펼쳤는데 우리 정부는 A 씨의 납치 사실을 왜 몰랐을까요?

자국민 납치는 가족의 신고나 인질 단체의 연락으로 알게 되는데 A 씨의 가족은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장기간 여행 중이라 조금 더 기다려 보기로 하고 연락을 기다렸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프랑스 정부의 경우는 아프리카 현지 가이드가 살해되면서 사건이 수사 대상이 되며 알려졌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김영미 / 시사인 국제문제 편집위원 (뉴스가 있는 저녁, 어제) : 보통 현지인들이 운전까지 해서 패키지처럼 이렇게 해서 같이 간 것 같은데 문제는 이 정보가 어떻게든지 노출이 됐고 프랑스인 2명이 납치가 되었는데 이 현지인을 살해한 거예요, 납치 과정 그래서 살인사건이 불거지면서 얘는 왜 여기에 갔냐 그랬더니 프랑스 사람 두 사람을 데리고 갔다. 그러면 그 프랑스 사람은 어디 갔느냐. 납치됐다.]

프랑스인 구출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미국인과 한국인이 더불어 발견된 것입니다.

한국인 여성 A 씨는 현재 건강에 큰 이상이 없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참 다행인데요.

우리 여론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안전하게 구출되어 다행이라는 여론도 있지만, "왜 굳이 위험한 지역을 여행해서 일을 크게 만들었느냐?" 성토의 목소리도 존재합니다.

거기에 A 씨의 구호에 '긴급구호비'라는 세금이 들어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기도 하면서 비난 여론이 높았는데요. 외교부는 공식적으로 이렇게 답했습니다.

[강형식 / 외교부 해외안전관리기획관 (뉴스가 있는 저녁, 어제) : 긴급구난비 제도가 있는데 이 제도는 해외에서 사건, 사고에 처한 우리 국민이 사건사고로 인해서 생명과 신체에 중대한 유해를 입을 경우에 무자력인 것이 확인되고 가족 등 연고자가 있어도 지원받을 수 없을 경우에 대외적으로 정부에서 긴급의료비용이나 귀국여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금번에 우리 부르키나파소에서 피랍된 우리 국민의 경우에 아직까지 저희에게 긴급 지원비를 신청하지는 않았습니다.]

A 씨는 자비로 항공편을 구해 오늘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피랍 사건을 계기로 부르키나파소 동부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기존 여행 자제에서 철수 권고로 상향하고, 베냉에 여행경보를 발령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여행위험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수준을 검토하고, 프랑스 등 선진국과 위기관리 공조체제를 강화해 나갈 방침인데요.

우리도 여행에 앞서 위험한 지역에 대해 정보를 체크하고 피하는 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42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74,122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17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