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노동부가 1월 고용상황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비농업 일자리가 51만8천 개나 늘어 예상치를 크게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큰 증가치로 전문가 전망 18만7천 개를 3배 가까이 웃돌았습니다.
지난해 12월 26만 개 증가보다도 두 배 가까이 많습니다.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던 실업률은 오히려 전달 3.5%보다 하락한 3.4%를 나타내 1969년 5월 이후 54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갔습니다.
업종별로는 레저·접객업 일자리가 12만8천 개 늘며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연말 성탄절 시즌을 지나면서 이들 서비스업 고용이 대폭 줄 것으로 예상했지만 보기 좋게 빗나갔습니다.
[마이클 존스 / 미국 투자자문사 대표 : 미국 기업들은 지난 2년 동안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길고 힘든 고생을 해왔습니다. 때문에 인력 해고를 꺼리는 것이고 이 점에서 기존 경향과는 다릅니다.]
소비자물가와 함께 금리를 결정하는 고용지표가 계속 호조세를 보이면서 금리인상 완화 기대가 시기상조란 비관론이 다시 제기됐습니다.
앞서 지난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를 두어 번 더 올리면 적정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고용이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 점에서 이번 지표가 현실을 자각시켜주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존 리어 / 시장분석 전문가 : 서비스 부문 물가상승이 높은 금리에서 불구하고 꺾일 줄 모르고 있습니다. 연준이 서비스 부문 물가상승을 막으려고 아주 공격적으로 나올 것이란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대형 기술기업들과 월가 금융회사, 금리에 민감한 부동산 관련 기업들이 잇따라 대량 해고를 발표하는 등 통화 긴축의 여파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어 올해 안에 노동시장이 꺾일 것이란 전망도 내놓고 있습니다.
YTN 임수근입니다.
영상편집 : 김희정
자막뉴스 : 이선
AD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막뉴스 더보기
-
이번 황사, 단순 모래 바람이 아니었다...앞으로가 더 문제
-
'中 무기 지원' 대응 방안에 언급된 한국 '왜?'
-
최근 80여 년 동안 처음...이번 기회 놓치면 2063년에!
-
"인민 걱정" 울컥해놓고...김정은 일가 '상상초월' 장면
-
구조 중 부상당한 소방관... 충격적인 국가 외면
-
앱 깔자마자 시작된 지옥...속수무책으로 돈 빠져나가
-
'지각대장' 푸틴, 버선발로 황제의전 나선 이유
-
혼자서 만화 찍은 오타니...세계 최강 타자들까지 '박살'
-
中도 기겁한 모래 먼지...'치명 물질' 한반도 습격
-
인공눈물 썼더니 안구 적출에 사망까지 잇따라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