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회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자문 없는 자문료?"...서울대 입주 기업 '뒤통수' 불만

2024.03.15 오전 06:14
AD
[앵커]
대학에서 입주 기업들에게 자문을 해준다며 돈만 받고 자문을 해주지 않는다면 얼마나 황당할까요?


실제 서울대에서 입주 기업들에게 해마다 수백만 원의 자문료를 받고도 컨설팅은 전혀 없어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윤웅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대 소속 연구소에 7년 전 입주한 소프트웨어 업체 대표 김 모 씨.

주변보다 저렴한 임대료에 유능한 인재들과의 협업도 가능할 것 같아 선택한 곳입니다.

그런데 학교에서 이듬해부터 갑자기 '자문계약서'를 체결하자더니, 임대료 외에 추가로 돈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없던 계약이 생겨났지만, 교수진 자문을 받으면 도움이 되겠단 생각에 응하게 됐습니다.

[김 모 씨 / 서울대 입주기업 대표 : 순수하게 자문 계약으로 알고 저도 동의를 했던 거고…. 자문을 받음으로써 회사 프로그램 개발이나 이런 데에 좀 도움이 되리라고….]

계약서에는 전기설계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자문해 준다며, 시기와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적혀 있습니다.

이렇게 자문료 명목으로 걷은 돈이 지난 6년 동안 2천만 원이 넘습니다.

하지만 실제 자문 받은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업체 대표는 주장합니다.

[김 모 씨 / 서울대 입주기업 대표 : 제가 최초에 알고 있는 자문에 대해서 전혀 자문을 한 사실이 없고….]

왜 계약과 다르게 자문이 없는지 학교 측에 여러 차례 문의했지만, 돌아온 답은 임대료가 저렴해 추가로 돈을 받고 있단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자문료 명목으로 돈을 걷는 건 다른 입주 기업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서울대 관계자 : 공간 사용료 명목이었던 것 같은데요. 입주 기업 전체에 아마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실 텐데요.]

서울대는 자문료를 왜 걷는지, 누구의 결정인지 등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관련 규정에 따라 임대 승인을 시행했다고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습니다.

하지만 서울대 재산관리규칙에는 정해진 산출 방법에 따라 청구한다고만 돼 있을 뿐 자문료를 걷는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어떤 규정에 근거해서 자문료를 받는 것인지 추가로 물었지만, 서울대는 답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학들이 학내에 기업들을 유치하는 건 산업과 교육기관이 힘을 합쳐 기술을 발전시키자는 취지입니다.

그런데 서울대가 정해진 임대료 말고 자문 없는 자문료까지 걷으면서 산학협력이라는 의미를 퇴색시킨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YTN 윤웅성입니다.










YTN 윤웅성 (yws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특별 이벤트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50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9,572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1,607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