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발사를 앞둔 누리호
엔진과 로켓 제작, 그리고 총조립 과정에 민간 기업이 처음 참여했습니다.
발사 통제와 제어 부분까지 참관하며 독자적인 누리호 운용 노하우를 습득하는 과정입니다.
[최영환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체계종합팀장 : (3차 발사) 현장에서 저희가 발사체 관련된, 조립 관련된 부분이나 시험평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실무적으로 참여하면서 발사체에 관련된 기술들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3차 발사 이후 2025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1차례씩 이뤄지는 실전 발사는 민간기업이 총괄하게 됩니다.
반복 발사를 통해 누리호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섭니다.
[조선학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저희가 각기 다른 상황에서 다른 탑재체로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 발사를 수행해서 발사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요.]
연구원이 확보한 기술을 민간이 이전받아 운용하는 뉴스페이스 시대의 시작입니다.
중형급 위성까지 발사가 가능한 누리호와 별개로 차세대발사체 사업도 진행됩니다.
2조 원 넘는 예산을 들여 2032년, 달에 1.8톤의 착륙선을 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
영상편집 : 황유민
자막뉴스 : 이형근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AD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막뉴스 더보기
-
"충격받은 애들도 있고...처음이 아니니까" 선생님, 결국 직위해제
-
'쾅쾅쾅' 대형댐 터져 긴급대피..."주도 세력, 전범 될 가능성"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작업 진행되는데...'격납용기 손상' 어쩌나
-
31년 만에 최고 상승 폭..."굉장한 부담"
-
우리 전투기도 투입...국제적 관행 깨버린 중국·러시아
-
밥 먹다 '기절초풍' 검은 이물질...SNS에 퍼진 영상
-
우크라이나, 입 가린 무장군인 영상 배포...치열해지는 심리전
-
애플 '야심작' 헤드셋 전격 발표..."완전히 새로운 플랫폼의 시작"
-
24시간 3교대 근무했는데...항우연 해명 따져보니
-
"미국이 먼저 말썽" vs " 중국의 괴롭힘 목격"...타이완해협 신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