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사회
닫기
이제 해당 작성자의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닫기
삭제하시겠습니까?
이제 해당 댓글 내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뉴있저] "참담하다" 외국인 기자가 본 한국 언론보도

2020.03.09 오후 07:47
AD
■ 진행 : 변상욱 앵커, 안귀령 앵커
■ 출연 : 라파엘 라시드 / 영국 출신 프리랜서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최근 코로나19 관련 뉴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가짜뉴스부터 추측에 근거한 뉴스까지 사실을 알기 어려운 뉴스도 많은데요.

[앵커]
한국언론의 코로나19 보도, 외국인 기자의 눈으로 분석을 해 보겠습니다.

영국인 기자입니다. 라파엘 라시드 나와 계십니다. 어서 오십시오, 반갑습니다.

[앵커]
안녕하십니까.

[앵커]
한국에서 지금 프리랜서 기자로 계신 겁니까? 그러면 기사를 쓰면 영국에 있는 여러 언론들로 기사가 나가겠군요.

언론의 관심을 가진 건 어떤 계기였습니까? 언제부터 관심을 가지셨어요?

[라파엘 라시드]
사실 저는 런던에서 일본학, 한국학 학사 마치고 한국 고려대에서 한국학 석사 과정 다니면서 한국 정치, 문화, 그리고 정치 전반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도 외국계 홍보대행사 3년간 정도 다니면서 국내 언론환경 그리고 현실에 대해 좀 더 가깝게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프리랜서 기자로서 다른 매체들이 잘 다루지 않은 주제에 대해 글을 쓰고 하고 있어요.

[앵커]
한국학, 일본학을 동시에 공부했다는 것 보니까 런던에 있는 SOAS에서 공부했군요.

[라파엘 라시드]
맞습니다.

[앵커]
한국에서 생활을 하시면서 글을 쓰고 계신데요. 기고하신 글을 제가 또 봤습니다. 라파엘의 한국살이라고 해서 한국 언론을 믿을 수 없는 다섯 가지 이유라고 쓰셨더라고요. 그런데 첫 부분이 이렇게 시작합니다. 솔직히 말해 보자. 한국의 언론은 형편없다. 이렇게 시작을 하던데 언론사에 다니고 있는 저로서는 굉장한 혹독한 평가였습니다. 어떤 부분을 보고 그렇게 생각하셨습니까?

[라파엘 라시드]
특정한 기사를 놓고 그렇게 얘기한 것이 아닙니다. 지난 9년간 생활하면서 일상적으로 느꼈던 것입니다. 제가 기사를 접할 때마다 궁금한 것은 출처가 어디인지 그리고 그 출처를 신뢰할 수 있는지입니다. 하지만 아주 많은 경우 출처가 애매하거나 틀렸다는 느낌이 옵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며칠 전에 한 한국 유명한 매체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기사를 읽었습니다. 그 기사는 매우 심각한 주장했는데 그 정보의 출처는 한 개인 네티즌 유튜브 채널이었습니다. 요즘 같은 위기에서 익명 SNS가 출처가 될 수 있는지 이해가 잘 안 가요.

[앵커]
예를 들면 그게 어떤 블로그가 막 주장을 했다거나 하면, 또는 어떤 유튜버가 막 주장을 했다면 에이, 그럴 수도 있나 하는데 유명한 언론.

[라파엘 라시드]
너무 유명한 언론이었습니다.

[앵커]
어떻게 보면 한국을 대표하는 언론들이 다 그렇게 지금 얘기하신 대로 나오니까. 그러니까 이제는 저도 이 글을 페북에서 막 공유했거든요. 시민들이 나서서 팩트체크를 먼저 해보고 믿어야 되나 말아야 되나. 이렇게 판단을 한 다음에 이제 공유를 하는 그런 일도 벌어지는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하세요?

[라파엘 라시드]
사실은 아시다시피 한국은 너무 작은 나라인데 이 나라에서 전통매체 그리고 온라인매체 포함하면 수백 개 있어요. 그래서 이미 포화상태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수익이 작고 광고 수익을 늘리기 위해 많은 클릭, 좋아요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니 관심 경쟁이 아주 심각해서 경쟁 속에서 분, 초 급하다 보니 근거, 출처 확인 안 하고 그냥 기사 내는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 것도 있고.

[앵커]
기사에 이런 부분이 있더라고요. 쓰신 글 중에서 결국 미디어의 목적이란 그저 더 많은 클릭과 뷰, 좋아요의 개수를 위한 것이 전부인가 싶은 정도이다. 이런 부분이 있더라고요. 이 얘기를 하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국 언론을 믿을 수 없는 다섯 가지 이유에 대해서 제가 간단하게 좀 정리를 해드리자면 팩트 체크가 없다. 그리고 팩트를 부풀린다. 그리고 복사, 붙여넣기가 아주 성행을 한다. 그리고 소설의 냄새가 난다. 그리고 언론 윤리가 없다 이렇게 쓰셨던데요.

저는 이 부분이 굉장히 궁금했습니다. 소설의 냄새가 난다라고 했는데요. 사실 뉴스라고 하면 사실에 기반해서 쓰는 것이 아닙니까? 그런데 어떻게 소설에 기반한 것 같다는 생각을 하시게 되셨어요?

[라파엘 라시드]
예를 들어 그 기사 아마 매일 그런 걸 볼 수 있는데 OOO씨에 따르면, 아니면 전문가에 따르면 아니면 업계에 따르면. 그런 한국 언론에서 자주 볼 수 있잖아요. 다시 말해서 이건 진짜인지 가짜인지 구분, 구별하기 어려워요. 하지만 비교하면 서양의 언론에서 주제가 워낙 민감해 누군가의 생명을 위협하거나 심각한 파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익명으로 남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앵커]
정부의 어떤 부처의 아무개 국장이 이렇게 얘기했다. 그에 따르면 이렇게 하든지. 아무개 부처의 아무개 대변인이 이렇게 설명했는데 그것에 따르면 이렇게 해야 되는데 관계자에 따르면으로 많이 가죠. 그런데 참 저한테 얘기하니까 쑥스럽기는 한데 검찰 관계자에 따르면 이렇게 되어 있을 때 그 관계자는 검찰을 취재하는 기자일 때도 있습니다. 기자끼리 얘기한 다음에 검찰 관계자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또는 방역대책본부를 취재하는 기자들끼리 막 점심 먹으면서 얘기한 다음에 방역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럴 때도 있는 거죠, 예를 들면 그렇습니다.

[라파엘 라시드]
알 수 없어요.

[앵커]
그러니까 소설의 냄새가 난다 이렇게 얘기하는 거군요. 그런데 여러 가지 있잖아요. 명예를 훼손한다든가 취재원의 사생활을, 프라이버시를 보호해 준다든가 이러한 기자나 저널리즘이 지켜야 할 윤리 같은 것들은 제대로 지켜지는 것 같아요? 영국하고 비교한다면 어떻습니까? 점수가 나쁜 편입니까?

[라파엘 라시드]
예를 들어 취재원에 대한 익명성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자주, 너무 많이 포장되지만 반면에 취재원의 사생활을 필요 이상으로 노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살인 사건의 경우에는 한국인이 아니라면 무조건 그 사람의, 살인자의 국적 부각됩니다.

[앵커]
예를 들면 어느 나라에서 온 사람, 외국인 노동자가 저질렀다 이런 식으로 해서 국적을 낸단 말이죠.

[라파엘 라시드]
그런데 그거 도대체 왜 필요한지 모르겠어요. 다른 예로 우한 교민들의 생활 모습을 대중에 노출했다가 비판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우한 교민 잠 못 드는 밤 같은 기사에서 교민들의 내부를 줌렌즈로 촬영한 사진을 실었습니다.

[앵커]
우한 교민의 잠 못 드는 밤. 그 기사를 말씀하시는거군요.

[라파엘 라시드]
그것 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어떤 때는 사람을 너무 감춰주고 어떨 때는 감춰줘야 될 건 너무 또 다 드러내고 이런 문제도 지적했는데 아무튼 기대하겠습니다.

한국 언론에 대해서 날카로운 비판을 자주 해 주시고 언론을 개혁하고 하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고맙습니다.

[라파엘 라시드]
감사합니다.
AD
AD

Y녹취록

YTN 뉴스를 만나는 또 다른 방법

전체보기
YTN 유튜브
구독 4,840,000
YTN 네이버채널
구독 5,651,505
YTN 페이스북
구독 703,845
YTN 리더스 뉴스레터
구독 18,224
YTN 엑스
팔로워 36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