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전문가가 해킹 프로그램을 이용해 아파트 단지 내 스마트홈 시스템, '월패드'에 접속합니다.
전화를 걸어 옆집을 몰래 볼 수도 있고, 보일러나 전등을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메인 서버에 설치된 스마트홈 시스템의 방화벽이 외부 공격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단지 내에서 시도한 해킹엔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다시 말해 한 가구만 해킹에 성공해도 공용 망을 통해 다른 가구를 쉽게 해킹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용일 / 사이버 보안 업체 대표 : 해킹의 통로가 마련되는 거죠. 마찬가지로 홈네트워크도 어떤 한 세대가 해킹을 당하면 그걸 통해서 연결돼있는 거죠, 홈네트워크로.]
최근 이런 취약점을 악용해 국내 아파트 월패드 카메라로 불법 촬영한 영상이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는 이른바 '다크웹' 사이트에 유포되면서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심지어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해킹된 아파트 지역과 이름 7백여 곳이 공개돼 해당 아파트 주민들은 사생활 유출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경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영상 유출이나 유통 여부를 확인하면서 해커를 추적하고 있지만,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응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이용일 / 사이버 보안 업체 대표 : 이런 문제를 일반 개인한테 뭔가 조치를 취하고 일반 개인들 조심하세요, 이렇게 하는 것은 문제 해결이 안 되고요. 일단 홈네트워크 기기 들어가는 장비들, 장치들, 시스템들이 도입되기 전에 보안성 검토라든지.]
해킹당하면 카메라 램프에 불이 들어오는 경우도 있지만, 불을 끈 상태로 녹화하는 해킹 기술도 가능해 개인이 알아채는 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결국, 피해를 막기 위해선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렌즈는 가려두는 방법뿐입니다.
또 홈네트워크 장비들은 반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는 추가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세대 간 망 분리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YTN 엄윤주입니다.
촬영기자 : 김현미·김광현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